모스코인(Mosscoin)은 증강현실(AR) 모노폴리 게임인 모스랜드(Mossland)에서 사용되는 암호화폐이다.
모스코인의 화폐 단위는 MOC이다.
이더리움 기반의 ERC-20 토큰이다.
리얼리티 리플렉션(Reality Reflection) 회사가 개발했다.
주요 인물은 손우람 대표와 노정석 이사이다.
2018년 1월 29일 밤 10시부터 모스코인에 대한 ICO 프리세일을 진행하여 38분만에 목표 금액을 모금하여 마감되었다.
2018년 10월 16일 진행된 모스랜드 더 옥션이라는 가상 건물 경매 서비스에서 미국의 엠파이어스테이트빌딩이 5,500만원, 한국의 광화문이 4,000만원에 경매를 통해 판매되었다.
모스랜드는 이날 총 26시간 동안 진행된 경매를 통해 450만 모스코인을 판매했으며, 이는 당시 코인 시세로 환산하면 약 2억 2천만원에 이르는 금액이다.
모스랜드의 가상 건물 경매가 성공적으로 진행되면서, 고팍스 거래소에 상장된 모스코인의 가격이 40원에서 80원으로 급등했다.
모스랜드 측은 매주 2회 새로운 랜드마크를 경매에 붙일 예정이며, 전 세계 총 250개 건물에 대해 경매를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모스코인의 어드바이저로 코빗 거래소 공동 창업자인 김진화 이사와 ㈜카카오의 자회사인 그라운드엑스의 한재선 대표 등이 있다.
모스코인은 현실의 부동산을 소재로 하는 위치 기반, 증강현실 모바일 게임 서비스인 모스랜드(Mossland)에 쓰이는 암호화폐이다.
모스코인은 현금을 모스랜드 게임 안에서 쓸 수 있는 화폐로 변환하는 매개체이다.
모스랜드는 모스코인을 비롯해 3종류의 화폐를 운용하여, 이것으로 게임 내 자산을 사고팔 수 있다.
모스랜드는 처음 기존의 게임 형태로 서비스가 구축된 후 게임에 알맞은 블록체인 기술이 개발되면, 게임 자산의 소유권을 블록체인 위로 옮길 예정이다.
모스랜드는 2019년 4분기에 개발 완료를 목표로 하고 있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2018년 11월 28일 기준 모스코인의 시가총액은 약 8백 7십만 달러로 256위에 해당한다.
총 공급량은 5억 개이며, 현재 유통되는 양은 약 2억 5백만 개다.
모스랜드 사용자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폐를 사용해 가상의 부동산 자산을 사고 팔 수 있다.
이렇게 획득한 가상의 부동산 자산은 암호화폐를 이용하여 거래 가능하도록 개발되어 환금성을 가지게 되므로, 모든 사용자는 자연스럽게 자신의 건물 가치를 높이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실제 존재하는 건물들을 게임 안에서 자유롭게 꾸밀 수 있기 때문에 서로 상호 작용을 하면서 새로운 방식으로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서비스가 구축된 후 성능이 뛰어난 블록체인 기술이 등장하면, 게임 내 가상 자산의 소유권은 블록체인 위로 옮겨질 예정이다.
그때부터 모스랜드의 가상 자산들은 탈중앙화된 거래 플랫폼에서 거래 가능하다.
모스코인(MossCoin)은 이더리움 플랫폼 기반의 암호화폐이다.
모스코인은 프리 세일 기준 1MOC당 0.0001ETH와 교환되었다.
모스코인은 모스랜드에서 모스(Moss)와 교환하는 용도로 쓰인다.
사용자들은 게임 내 모스를 충전하기 위해 모스코인을 거래소에서 구매할 수 있다.
구매한 모스코인은 게임 사이트를 통해 모스로 환전할 수 있고, 환전 시 사용한 모스코인은 운영사의 지갑에 보관된다.
운영사는 환전하고 받은 모스코인을 보관하고 있다가 인출을 원하는 사용자에게 지급한다.
획득 경로와 관계없이 모든 모스는 모스코인으로 교환이 가능하며, 인출한 모스코인은 상장된 거래소에서 다른 암호화폐나 현금으로 환전할 수 있다.
댓글 영역